크론병 증상, 완치, 궤양성 대장염, 대변 볼 때 피염증성 장질환을 보세요.

#크론병 #크론병증상 #크론병완치 #변시피 #궤양성대장염 #궤양성대장염증상 #대장염증상 #염증성장질환크론병증상 완치궤양성대장염변시피염증성장질환을 보세요.

안녕하세요^.^몸과 마음이 무사하고 건강하게 편안하며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건강의학 분야를 주제로 포스팅하는 웰빙입니다^.크론병은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관 전체에 걸쳐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장질환입니다.
궤양성 대장염과 달리 염증이 장의 모든 층을 침범해 병적 변화가 분포하는 양상이 연속적이지 않고 드물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장과 소장이 연결되는 부위인 회맹부에 질환이 발급되는 경우가 가장 많고 그 다음에 대장, 회장 말단부, 소장 등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염증성 장질환의 원인

크론병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마이코박테리아 감염, 홍역 바이러스 감염 소화관 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에 대한 과잉 면역 반응이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젊은 사람들에게 자주 발생하며 15세에서 35세 사이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 가족 내에 크론병 환자가 여러 명 나타나기 때문에 유전적 영향이나 환경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크론병과 흡연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흡연은 크론병 발생을 촉진하고 흡연자는 수술 후 재발률이 높아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크론병 증상

염증이 구강에서 항문까지 전장을 침범할 수 있으며 주로 회맹판을 기준으로 호발하며 소장이나 대장, 드물게 위, 구강에도 생길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증상은 배변 시 피가 나고 복통, 설사 및 체중 감소로 악화와 호전을 반복합니다.
우리나라 크론병 환자의 약 3분의 2는 치루치열, 항문 주위에 농양과 같은 항문 질환을 동반하고 있습니다.
전신 증상으로 관절통, 관절염, 피부, 눈 등에도 자가면역성 질환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크론병 검사

1개의 방법으로 진단할 수 없으며, 복수의 검사를 병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병력을 듣고 진찰한 뒤 몇가지 혈액 검사와 함께 대장 X선 검사와 대장 내시경 검사에서 장내를 관찰합니다.
내시경 검사상 장에 따라서 오랫동안 나타나는 종주형 궤양이나 자갈밭처럼 보이는 조약돌 점막의 모양이 관찰되고 나머지에 모양이 일정하지 않는 애프터 궤양 등을 볼 수가 있습니다.
내시경으로 관찰되는 장내의 변화와 함께 조직 검사로 얻은 정보를 종합해서 크론 병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크론 병은 잘 소장을 막는 것으로 소장의 X선 검사도 필요이고, 초음파 검사나 CT촬영은 농양의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크론 병을 진단할 때 비슷한 양상에 염증을 일으킬 다른 질환과 감별해야 하는데 특히 결핵성 장염과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항 결핵제를 투여하고 치료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고 복제 병과 감별할 수도 있습니다.

치료(클론병 완치)

아직까지 완치에 이르는 치료법은 개발되지 않았지만 크론병 경과에 미치는 인자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다양한 치료가 개발되어 상당한 효과를 얻고 있습니다.
약물치료에는 항염증제로 설파사라진, 메살라민이 있으며 부신피질호르몬제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면역억제제, 항생제, 기타 다양한 약제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크론병 발생과정에 대한 최근의 지식을 바탕으로 분자생물학적 기술을 이용하여 최신 치료법이 개발되어 좋은 효과를 보이고 있는데, 그 중 종양괴사인자(TNF) 항체인 임플릭시맙을 이용한 치료법이 대표적입니다.

궤양성대장염(대장염)

궤양성 대장염은 소화기관의 마지막 부분인 대장 안쪽 점막층에 염증과 궤양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베체트병이나 크론병과 함께 염증성 장질환의 일종으로 염증이 보통 항문에 가까운 직장에서 시작해 연속적으로 대장 안쪽으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모든 연령대에서 일어날 수 있지만 주로 30대 전후의 젊은 사람들에게 자주 일어납니다.
궤양성 대장염의 원인궤양성 대장염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면역체계에 이상이 생기고 면역체계가 자기 자신의 장 점막을 공격해 염증 반응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궤양성 대장염의 발생에는 흡연이나 스트레스 같은 환경 요인이나 유전적 요인, 장내 세균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궤양성 대장염 증상(대변 시의 피)궤양성 대장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혈변으로 변이 점점 얇아지면서 혈액이나 점액이 섞여 나옵니다.
대변을 참기 어렵게 되거나 대변을 봐도 뒤가 무겁고 불쾌해지기도 합니다.
설사와 함께 복통도 생기고 체중이 점점 줄어 일부 환자는 대장 이외의 장기에도 증상이 나타납니다.
피부나 입 안에 궤양이 생기거나 안과 질환, 관절염 등이 나타나는데 사람마다 증상이 나타나는 부위나 정도는 다릅니다.
궤양성 대장염 치료궤양성 대장염은 다른 염증성 장질환과 마찬가지로 한번 발병하면 깨끗이 완치되는 것이 아니라 증상이 좋아지거나 나빠지는 만성질환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진단과 치료로 증상을 호전시키고 꾸준히 진료를 받으면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약물 치료에서는 염증이 가라앉고 대장 점막이 회복되도록 항염증제를 사용합니다.
증상이 없는 상태의 관해를 유도하기 위해 항염증 작용을 하는 스테로이드제가 필요한 경우도 있고 세균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항생제가 필요합니다.
면역반응을 조절하고 염증을 호전시키기 위해 면역조절제나생물학 제제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약의 선택은 증상이나 기초 질환 약에 보이는 반응에 의해서 바뀌므로, 담당 주치의와 충분히 상의한 것이 좋겠어요. 약물 치료로 증세가 호전되지 않거나 약물의 부작용이 심한 경우는 대장 절제술을 고려하는 결장암이 늘어나는 긴급 상황인 독성 결장 거대증 치열한 장출혈이 있는 경우도 수술이 필요합니다.
궤양성 대장염을 앓고 있어도 증상이 거의 없는 경감기에는 정상적인 생활을 보낼 수 있습니다.
자신의 질환이나 사용하고 있는 약, 부작용에 대해서도 잘 알아 두어야 합니다.
정기적으로 진찰을 받아, 폭음과 폭식, 흡연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기의 포스팅에 관심을 갖고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 조심하면서 무사히 건강한 하루 보내세요 ^.^”당신이 먹되 4분의 1은 당신을 살게 하고 당신이 먹되 4분의 3은 의사가 먹지요 “(Onequarter of what you alive, the three quarters keeps doctors alive.)-고대 이집트 속담.-“음식은 약으로, 약은 먹을 것입니다(Let food be the medicine and medicine be the food.)-히포크라테스-“예방이 치료보다 좋은 잠이 약보다 좋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