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요양원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차별화된 시스템 등에서 다양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요양원이라는 산업의 특성상 디자인부터 헬스케어까지, 나아가 설계부터 구축까지 매우 중요한 요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세상을 떠나기 전 마지막 종착역이 아니라 건강하고 아름다운 실버의 생활을 위한 요양원… 고령화의 속도, 노인 인구의 증가 비율 등이 한국과 비슷한 일본의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일본_홋카이도 ‘보니의 숲’ 일본의 요양시설은 크게 재활용 목적의 노인 보건 시설과 간병 등 돌봄 목적으로 운영되는 노인 복지 시설로 나뉩니다.
케어하우스라고 해서 한국의 실버타운과 마찬가지로 개인 비용으로 입소를 하는 곳도 있습니다.
‘평화롭고 즐겁고 존엄한 생활’을 모토로 어르신이나 치매 환자가 안심하고 행복한 실버라이프를 즐길 수 있도록 많은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가족이 급한 용무로 고령자의 간호를 할 수 없는 경우를 위해 단기 간병 서비스도 실시하고 있습니다.
노인보건시설 한국 요양원과 요양병원의 중간단계로 의사와 간호사가 상주하여 지속적인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6~8명의 직원이 교대로 비교적 적은 수에 해당하는 10명의 입소자를 돌봅니다.
입소자의 행동을 한눈에 파악해, 재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유닛 케어를 채용하고 있습니다.
노인복지시설 한국의 요양원처럼 의사가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3명의 간호직원을 두고 기본케어부터 디테일한 헬스케어까지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이곳은 전체 룸으로 되어 있어 부부가 함께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생활용품이 구비되어 있으며 필요한 경우 도우미나 주간보호서비스 등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돌봄하우스 같은 건물에 보건시설이나 복지시설이 있어 향후 건강이 악화될 경우 전문적인 돌봄이 바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운영되고 있습니다
부부 중 한 명이 다른 시설에 가게 되더라도 한 건물에 거주할 수 있기 때문에 노인의 정서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