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입, 할인율, 계산기 국민주택채권의 모든것 :

집을 살 때 의무적으로 “국민주택채권”이라는 것을 사야해요.

국민주택채권을 사 본 적이 없다구요?

아마 분명히 냈을 거예요일종의 세금이라고 보면 되죠.

그럼 부동산을 구입할 때 이 국민 주택 채권이 얼마인지 계산해 보았습니까.

많은 분들이 놓치셨겠지만, 오늘은 국민 주택 채권 금액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주택채권이 뭐야?국민 주택 채권이란, 국민 모두를 위한 주택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되는 채권입니다.

그래서 집을 사면 채권의 절반을 사야 합니다.

셀프 등기가 아닌 경우, 법무사나 공인중개사를 통해 몇 백만원의 계산서를 받는 것이 아닙니까?

거기에 무조건 있는 비용이 바로 이 국민주택채권입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몇 억 하는 집에 대해서 몇 백만원의 세금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

그래서 눈빛이 마주칠 확률이 높은 게 이 항목이에요

국민 주택 채권은 굳이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입하자마자 할인해서 파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채권의 수익률이 높고, 5년을 보유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입니다.
)

만약 국민 주택 채권을 100만원에 사서 바로 90만원에 되팔면, 본인이 지불해야 하는 것은 10만원입니까?

이 가격은 계산서에 적혀 있습니다.

채권 가격이 정해져 있고, 되팔 할인율도 매일 결정되기 때문에 정확한 비용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이 정확한 비용을 대부분의 사람이 알지 못하고 지나가기 때문에 과도하게 산출되어 견적서에 인쇄된다고 합니다.

정확한 계산 방법 아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주택채권 계산 매입가, 할인율을 감안하여 계산하는 방법.국민 주택 채권은 아주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어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1.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 청약채권 > 제1종 국민주택채권이용 2. 대한법무사협회 > 국민주택채권계산기 이용

두 가지 방법 모두 소개하겠습니다.

  1.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 청약채권 > 제1종 국민주택채권을 이용하는
  2.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에서 계산해 볼게요.

홈페이지를 열고 <구매금액조회>를 클릭합니다.

들어가서 매입 용도를 골라줍니다.
거의 최초의 “부동산 소유권 등기(주택)”일 것입니다.
클릭합니다.

선택하시면 대상물건 지역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서울특별시 및 광역시 / 기타 지역 중 하나를 선택하여

아파트의 경우 공동주택 가격열람, 단독주택의 경우 단독주택 가격열람을 통해 시가표준액을 확인합니다!
!

주택 및 아파트를 구하면 공시가격이 나옵니다.
아파트라고 하면 동/호수까지 고르실 수 있어요~

임의로 어떤 아파트든 선택해 봤습니다.
2020.1.1일 기준 종동 집값 보이시죠??

이것까지 구하면 다 했어요.

그 가격을 시가표준액에 넣으면 채권 매입액은 400만원이 됩니다.
~

아까 대부분 이 채권을 사서 바로 되팔겠다고 했죠?

고객 부담금 조회에서 아까 산 4,002,000원을 넣으면 됩니다!
천원 단위로 반올림하세요.조회기간은 매일 수익률이 다르므로 당일 날짜로 넣으면 된다.

조회를 누르면 본인부담금은 106,800원입니다.
~~ 즉 (국민주택채권 전매비용) = (국민주택채권 매입금액) – (매도금액) 이 됩니다.

이 경우는 10만원 정도로 나왔지만, 실제 견적서에서는 20만원, 25만원으로 견적을 내버리는 경우도 많아요!
!
!

잘 알아서 돈을 절약합시다.
(아쉬워하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내는 것이지만…))

2. 대한법무사협회 > 국민주택채권계산기를 이용하기에 더욱 용이합니다.

네이버에 “대한법무사협회 국민주택채권계산기”라고 치면 나와요.

여기에 공시가격 / 기준일만 입력하면 자동계산 종료!
더 손쉽죠?아까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에서 보신 174,000,000의 공시가격을 똑같이 합치면 가격이 같겠죠?

이것만은 제대로 알면 견적서를 받을 때 지적하고 가격을 협의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땅을 파고나서 돈이 나오는게 아니니까 돈을 절약합시다!
!
!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