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수 수질을 감시하고 쓰레기, 분뇨, 하수, 기타 폐기물을 처리하는 동시에 공중위생접객업자와
공중이용시설 및 위생용품, 식품, 식품첨가물 및 이와 관련된 기구, 용기 및 포장의 제조 및 가공에 관한
위생관리를 담당합니다.
유해곤충 및 쥐의 구제, 기타 보건위생에 영향을 미치는 소독 업무와 보건관리 업무를 담당합니다.
향후 10년간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직업적으로 변동이나 인원이 많이 필요하지 않아
인력 수요의 변화는 크지 않은 편입니다.
전국 지역 보건소에 2~3명의 위생사를 배치하도록 규정되어 있어 보건소에서 보건공무원으로 일할 수도 있고
해충방제회사, 식품업체, 대형마트, 호텔 등의 관광업체, 일반기업 구내식당 등에 진출할 수 있습니다.
국가기관이나 공기업에 식품위생감시원, 식품위생관리인, 소독관리인 등 취업이 가능하며 취업분야가 다양합니다.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을 통과해야 하는데 필기시험은 전 과목 총점의 60% 이상, 매 과목 40% 이상이면 합격이고
실기시험은 만점의 60%이상 득점하면 합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