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논입니다!
!
오늘 오전 근무를 하고 코로나 백신 2차 접종을 받고 왔습니다.
1차에서도 화이자를 맞으셨기 때문에 이번에도 화이자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네이버에 쳐도 화이자 접종 간격이 3주라고 하는데 저는 1달 5일 후에 접종을 해서… 효과가 좀 떨어지나요 ㅎㅎ 신청 당시에는 10월 초로 예정되어 있었는데 6주 연기되어 5주로 앞당겨졌어요.
백신을 맞고 나서 5시간이 지났습니다만, 졸음이 오는 것을 제외하고는 아직 괜찮습니다.
오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있었는데요. 올해 8월 0.25%포인트 인상한 데 반해 10월에는 금리를 0.75%로 동결했습니다.
최근 유가와 원자재 가격이 오르고 코스피 지수가 1,900 선 아래로 떨어진 YTD가 마이너스로 떨어졌습니다.
주식시장이 좋지 않다는 것은 한국 경제의 미래가 그렇게 밝지 않을 거라는 뜻이죠.
하지만 국내 경제가 성장을 지속해 물가가 2%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해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 나갈 것이라고 금통위는 밝혔습니다.
이는 곧 시중에 풀리는 유동성을 회수하겠다는 것으로, 기준금리 인상을 다음 달 회의에서 올릴 수 있다는 뜻입니다.
다만 변수로는 코로나19로 인한 피해가 경제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지가 가장 중요할 것 같습니다.
출처 : 네이버에서도 2차 접종자 간 인구가 전체 인구의 약 60%에 달하며, 1차 접종자만 놓고 보면 약 78% 수준입니다.
이대로라면 11월부터는 사회적 거리를 두는 단계가 대폭 완화돼 시간 및 인원 제한에 대한 통제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후후후
이러면 경제가 다시 정상으로 돌아가니까 maybe… 11월 금리인상은 탕탕탕이지 않을까…
다음은 최근 가장 핫한 이슈 중 하나인 원-달러 환율입니다.
원달러 환율이 무섭게 치솟아서 오늘 한때는 1달러당 1,200원이 올랐어요. 해외로 수출해서 달러를 벌어오는 기업들에게는 좋은 일이겠지만 해외에서 원자재를 수입하는 기업들에게는 지옥 같은 시간이 아닐까 싶습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고 있는 이유는
1) 중국 경기둔화 우려, 헝가리 부동산 위기 -> 세계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파급력 2) 미국 연준의 테이퍼링 가능성 ->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신흥국 투자 감소 3) 유가,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상기와 같습니다
세 가지 우려는 미국 주식을 소유하고 있는 저에게도 위험 요인이기 때문에 관련 기사를 보고 개인적으로 공부도 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정말 어쩔 수 없는 것 같아요. 반도체 쇼트티지, 코로나로 인한 베트남 공장의 셧다운 등으로 전체적인 공급 병목 현상으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니까요.
이렇게인상이되었음에도불구하고이상승분을소비자에게잘전가할수있는회사에투자해야되지않을까생각합니다.
원달러 환율의 10년치 차트를 보면 지금 환율은 중간 이상이라고 생각합니다 2020년 코로나 위기로 원-달러 환율이 1,300원까지 오르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왔는데 2008년 금융위기 당시 1590원대까지 올랐고 1998년 IMF 당시 1,850원대까지 올랐습니다.
ㄷㄷ )
다행히 1,300원대까지는 안 갔어요. 저는 환율에 신경쓰지 않고 미국 주식을 주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2016년 초에 환율이 오른 이유가 왜인지 궁금해서 당시 기사를 찾아봤어요.
뭔가… 어디서 많이 본 것 같은 헤드라인이잖아요”흐흐 2016년에는 주식의 ㅈ자도 몰랐던 학생이었는데…당시 원-달러 환율이 미국 지표의 부진, 유가 상승으로 원-달러 환율이 올랐고, 2016년 중간쯤에는 브렉시트(Brexit)에 다시 환율이 올랐습니다”
누가 그러는데 환율이 1,300원을 넘지 않을까 이런 걱정을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코로나 때도 안 일어났는데 지금 1,300원을 돌파할 수 있을까요? 저는 회의적입니다.
자, 이렇게 한국은행 금리와 원달러 환율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참, 지금은 이 주식에 애매한 시기인 것 같아요. 자금을 투입하려면 현금 여력이 그렇게 많지 않고, 그렇다고 가만히 있으면 다시 올라갈 것 같아요.
출처 : 제가 속한 그룹톡의 현금 여력이 있으신 분은 분할 장수를 넣어주시고 전문가 말씀은 참고하시고 판단은 본인이 하겠습니다.
책임은 본인에게 있잖아요!
그분도 대단한 명인이시지만 시장에 100% 맞출 수는 없습니다.
이상 미노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