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업은행, 제1금융권

신문이나 뉴스를 보면 제1금융권, 제2금융권, 제3금융권이라는 말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은행은 대부분 제1금융권이지만 신용불량자도 있어 제3금융권 외에는 이용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정확한 분류 방법에 따른 정식 명칭은 아니지만 언론에서는 편의상 따로 부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의미 요약

제1금융권은 주요 도시에 본사를 두고 전국에 지점망을 두고 있는 일반은행인 시중은행, 도의 특정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지방은행, 특정 법률과 규정에 따라 특수한 업무를 수행하는 특수은행이 있습니다.
시중은행으로는 우리가 자주 접하는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이 있습니다.
지방은행으로는 부산·대구·전북은행 등이 있고 특수은행으로는 IBK기업은행·농협·수협·축산협동조합 등이 있다.

시중은행 이외의 제2금융기관으로는 증권회사, 보험회사,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투신회사, 종합금융회사, 신용협동조합 등이 있습니다.
제2금융권은 은행과 구별하기 위해 만든 용어로 은행이 제공할 수 없는 전문적인 금융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만들어졌다.
제2금융권은 은행법의 적용을 받지 않고 시중은행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실체라고 볼 수 있다.

제3금융권은 제1금융권과 제2금융권 이외의 금융기관을 말하며 은행이나 보험사로부터 신용을 얻기 어려운 서민을 위한 신용회사가 대표적이다.

제1금융권은 거래가 편리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를 제공하며 다양한 형태의 금융거래가 가능한 지점이 많다.
제2금융권은 빠르고 쉬운 대출을 제공하지만 예금금리가 높다.
제3금융권은 대부업이자 사채업으로 대출금리가 매우 높다.

1금융권의 경우 금리가 3~7%, 2금융권은 카드신용이 13%, 중금리는 16~17%, 3금융권은 더 높다.

현재 대부업체의 최고 법정 이자율은 24%입니다.
뉴스나 드라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불법사체업체들은 높은 이자로 대출을 해 서민들을 괴롭힌다.

그러나 대출 회사는 이자율이 매우 높습니다.
한번만 사용해도 신용등급이 크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
뒤돌아보지 않고 3차 금융은 피하는 것이 상책이다.